골다공증은 골질이 약해져서 골이 쉽게 부러지는 질환이며, 특히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곤 합니다. 이 질환은 뼈의 밀도를 감소시키고 구조를 약화시켜 골절 위험을 높이는데, 이는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고 심지어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런 골다공증의 복잡하고 중요한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분이 바로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의 고정민 교수님입니다. 이 글을 통해 고정민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정민 교수 프로필 | |
이름 | 고정민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내분비내과 |
진료분야 | 골다공증,부신질환 |
학력 | 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고정민 교수는 현재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내분비내과 고정민 교수
고정민 교수는 1986년부터 1993년까지 서울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레지던트로 근무하였고, 1993년부터 1994년까지는 인턴으로 활동하였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전임의로 활동하였다.
울산대학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은 고정민 교수는 꾸준한 학문의 열정을 보여주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석사 과정을, 그리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박사 과정을 이수한 그는 학문의 깊이를 더욱 깊게 하였다. 고정민 교수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조교수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는 부교수로 활동하며 골다공증 전문가로서의 경력을 쌓아나갔다. 교수로 임명된 이후에는 2014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University of Connecticut Hospital Center의 Lorenzo’s Lab에서 연수를 통해 전문 지식을 더욱 강화하였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고정민 교수는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연구에도 탁월한 업적을 보여주고 있다.
고정민 교수와 김남국 교수가 공동으로 참여한 연구에서는 1만 1천여 건의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이 90%의 정확도로 골다공증 고위험군을 예측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골다공증의 조기 진단 및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정민 교수팀은 하체 근육운동이 폐경기 골다공증의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근육과 뼈의 상호작용 관계를 새롭게 밝혀내, 골다공증 예방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아산병원에서는 고정민 교수의 리더십 하에 간단한 흉부 X-ray만으로도 골다공증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건강검진에 포함돼 상대적으로 쉽게 받을 수 있는 흉부 X-ray 검사로 골다공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을 예측한다면 골밀도 정밀 검사가 필요한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해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급격한 삶의 질 저하를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
- 2001 .03 ~ 2003 .02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1996 .03 ~ 1998 .02울산대학교 의학 석사
- 1986 .03 ~ 1993 .02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14 .04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2009 ~ 2010A research scholar in Lorenzo’s Lab of University of Conneticut Hospital Center 연수
- 2008 ~ 2014 .03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부교수
- 2003 ~ 2008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조교수
- 2001 ~ 2003서울아산병원 전임의
- 1994 ~ 1998서울아산병원 레지던트
- 1993 ~ 1994서울아산병원 인턴
논문
- Usefulness of 68Ga-DOTATOC PET/CT to localize the culprit tumor inducing osteomalacia
- Lower Trabecular Bone Score in Patients with Primary Aldosteronism: Human Skeletal Deterioration by Aldosterone Excess.
-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otect human hepatoma cells from developing steatosis through FFA4 (GPR120).
-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renal Incidentaloma.
- Free Fatty Acid Receptor 4 Mediates the Beneficial Effects of n-3 Fatty Acids on Body Composition in Mice.
- Interleukin-32 Gamma Stimulates Bone Formation by Increasing miR-29a in Osteoblastic Cells and Prevents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 Lower Bone Mass and Higher Bone Resorption in Pheochromocytoma: Importance of Sympathetic Activity on Human Bone.
- New diagnostic criteria for subclinical hypercortisolism using postsurgical hypocortisolism: the Co-work of Adrenal Research study.
- Validation of pathological grading systems for predicting metastatic potential in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 Whole-genome sequencing identifies rare genotypes in COMP and CHADL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hip osteoarthritis.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하루 견과류 한 줌·햇볕 30분 쬐면 ‘뼈 튼튼’
- 고정민 교수 가송의학상 수상
- 서울아산병원 김남국·고정민 교수, 1만 1천여 건 데이터 학습 인공지능 “90% 정확도로 골다공증 고위험군 예측”
- 하체 근육운동으로 폐경기 골다공증 예방…서울아산병원 고정민 교수팀, 근육과 뼈 상호작용 관계 입증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 서울아산병원, 간단한 흉부 X-ray로 ‘골다공증’ 위험 예측
- [100세 건강] 암 보다 무서운 골다공증 최선의 예방법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