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웅 교수는 황반변성 같이 망막 이상으로 나빠진 시력을 개선하는 치료를 오랫동안 연구한 이 분야 권위자다. 대한안과학회에서 실시하는 우리나라 주요 안 질환 역학조사를 책임지기도 했다. 이 글을 통해 강세웅 교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강세웅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강세웅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안과 |
진료분야 | 망막질환, 황반질환, 당뇨망막병증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취득) |
대표경력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망막질환 명의로 알려진 강세웅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안과에 재직중이다.
망막질환 명의 강세웅 교수
강세웅 교수는 망막질환, 황반질환의 명의로 알려져 있다. 2019년부터 2년간 한국망막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망막질환 분야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망막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망막질환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강세웅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레지던트, 전임강사, 부교수를 역임한 후, 2007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강 교수는 망막질환, 황반질환,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망막질환은 시신경에 있는 망막이 손상되어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황반질환은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이 손상되어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망막 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대한안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안질환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는데, 강 교수는 이 조사의 책임자다. 망막질환 중 신경과 혈관이 몰려 있는 중심부인 황반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전념한다. 단층촬영을 이용한 황반부종 분류법, 황반부종 치료를 위한 병합치료,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등을 국내 최초로 발표했다. 황반질환 중 특히 아시아인들이 많이 걸리는 결절맥락막혈관병의 원인과 증상을 국제적인 안과 학술지에 게재했다.
강세웅 교수는 망막질환 치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강세웅 교수의 연구가 망막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
2001.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취득) |
---|---|
1995.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취득) |
1986.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1982.03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예과 수료 |
경력
2007.04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교수 |
---|---|
2011.11 ~ 2015.03 | 삼성서울병원 안과 과장, 주임교수 |
2001.04 ~ 2007.03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부교수 |
2000.10 ~ 2001.03 | 삼성서울병원 안과 전문의 |
1999.08 ~ 2000.09 | 충북대학교병원 안과 과장 |
1993.05 ~ 2000.09 |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전임강사 ~ 부교수) |
1997.07 ~ 1998.06 | 미국 Bascom Palmer 안연구소, 망막분야 Research Fellow |
1990.04 ~ 1993.04 | 공군사관학교 병원 안과 과장, 병원장 (군복무) |
1990.02 | 안과 전문의 자격 취득 |
1987.03 ~ 1990.02 |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전공의 |
1986.03 ~ 1987.02 | 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 |
연구분야
당뇨병선 황반 부종 피험자들에서 유리체 내 VEGF Trap-Eye 반복 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활성대조, 제 3상 임상시험 |
학회활동
2008.06 ~ 현재 | 질병관리본부 안과 전문분과 위원 |
---|---|
2007.12 ~ 현재 | 대한안과학회 안질환 역학조사 위원장 |
2006.07 ~ 현재 | 대한안과학회 이사 |
2002.11 ~ 현재 | 한국망막학회 이사 |
논문
- INVEST OPHTH VIS SCI 2023 10.1167/iovs.64.10.10Diabetes-Related Risk Factors for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of a Diabetic PopulationHwang, S; Kang, SW; Kim, SJ; Lee, KN; Han, KYD; Lim, DHView PubMed
- OPHTHALMOLOGY 2023 10.1016/j.ophtha.2023.01.014Impac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Related Visual Disability on the Risk of Depression A Nationwide Cohort StudyHwang, S; Kang, SW; Kim, SJ; Han, K; Kim, BS; Jung, W; Lim, DH; Shin, DWView PubMed
- PLOS ONE 2023 10.1371/journal.pone.0284899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visual symptoms after successful photodynamic therapy in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Lee, GW; Kim, YY; Choi, KJ; Kang, SWView PubMed
- RETINA-J RET VIT DIS 2023 10.1097/IAE.0000000000003650SPONTANEOUS REATTACHMENT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Observations of the Vitreoretinal InterfaceSon, KY; Hwang, S; Kang, SW; Kim, SJ; Choi, JH; Choi, KJ; Park, HView PubMed
- NPJ DIGIT MED 2023 10.1038/s41746-023-00748-4Multimodal deep learning of fundus abnormalities and traditional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risk predictionLee, YC; Cha, J; Shim, I; Park, WY; Kang, SW; Lim, DH; Won, HHView PubMed
- JAMA OPHTHALMOL 2023 10.1001/jamaophthalmol.2022.5927An Outbreak of Fungal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in South KoreaKim, SW; Kim, JH; Choi, M; Lee, SJ; Shin, JP; Kim, JG; Kang, SW; Park, KHView PubMed
- SCI REP-UK 2022 10.1038/s41598-022-25791-1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idiopathic macular hol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Hwang, S; Kang, SW; Kim, SJ; Choi, J; Son, KY; Lim, DH; Shin, DW; Choi, D; Chang, Y; Ryu, S; Cho, JView PubMed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천안김안과 천안역 「본점」 초청강연 5탄 삼성서울병원 ‘강세웅 교수님’ 특별강연 영상입니다.
- 언론 – 황반변성으로 시력 나빠지면 우울증 발병 23% 증가
- 언론 – “황반변성 실명 막으려면 힘들어도 꾸준히 주사치료를”
- 언론 – 당뇨병 환자 10%, 진단 때부터 눈에 합병증… ‘失明 시한폭탄’ 안고 산다
- 언론 – 갑자기 찾아온 실명, 황반변성
- 언론 – 치료 늦으면 실명 위기… 눈에도 응급질환 있다
- 언론 – “괜찮겠지” 하다 ‘실명’… 눈에 불켜세요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